직장다반사

<<안전교육>>_승강기관리교육_정답

dKoobs 2021. 9. 27. 00:04
728x90

※시험 응시 후 정답 확인 용도로만 참고 부탁드립니다.

 

 

 

● 다음 중 법정검사의 종류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?

- 일상점검

● 승강기 검사 연기신청이 불가능한 경우는 언제인가?

- 타 법에 의무화 되지 않은 승강기로 관리주체가 승강기의 운행을 중단한 경우

● 검사연기 신청했던 승강기의 연기사유가 해소되어 재운행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절차가 필요한가?

- 검사연기사유 해소 시 5일 이내 검사신청 및 검사합격 후 이용

● 승강기운행에 대한 지식이 풍부하여 승강기의 관리주체로부터 관리자로 선임된자를 무엇이라 하는가?

- 승강기안전관리자

● 자체점검자의 자격 검토사항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?

- 급여

● 다음 중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아닌 경우는 무엇인가?

- 승강기의 결함에도 유지관리를 하지 않아 중대한 사고를 발생하게 한 자

●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
- 권상기

● 손잡이가 난간 아래로 되돌아가는 구멍(인입구)에 어린아이의 손이나 이물체가 빨려들어가는 것을 감지하는 안전장치로, 스위치가 작동되면 운행을 멈추도록 하는 것은?

- 손잡이 인입구 안전장치

● 전기식(로프식) 엘리베이터의 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
- 유압 파워유니트

● 엘리베이터의 구조 중에서 엘리베이터의 속도와 운전을 제어하고 있고, 주로 반도체 사용하며, 이동케이블을 통해 신호를 전달 받는 것은?

- 제어반

​●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장치가 아닌 것은?

- 문닫힘 안전장치

​● 에스컬레이터 구동체인 안전장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?

- 손잡이가 난간 아래로 되돌아가는 구멍(인입구)에 이물질이 끼임을 감지하여 멈추게 하는 장치

​● 중대사고 발생시 처리 및 보고에 대해 잘못된 것은?

- 법정 서식으로 간단히 사고현황 작성 후 한국승강기안전공단에 통보

● 승강기와 관련된 긴급 및 응급사항에 대비한 비상연락망이 아닌 것은?

- 전기안전공사

● 엘리베이터 갇힘 등 긴급 및 응급사항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?

- 카내에 갇힌 이용자가 힘이 좋다면 카 문을 열고 빨리 탈출해야 함

● 비전문가가 엘리베이터 비상키를 이용해 승강비전문가가 엘리베이터 비상키를 이용해 승강장 문을 강제로 열다가 승강로 안으로 추락하는 사고를 예방하기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?

- 경비원 등 누구나 비상시 승강장 문을 개방할 수 있음

안전관리자가 엘리베이터 이요자로부터 카 내 갇힘을 인터폰이나 전화로 통보 받았을 때 해야 할 행동요령이 아닌것은?

- 전문가가 아니므로 일체 대응하지 않음

● 에스컬레이터의 전도 사고 예방대책으로 맞지 않는 것은?

- 출입구 주변 물기제거 흡착 매트 설치 및 우산 포장기 설치

● 승강기의 유지관리의 행위로 볼 수 없는 것은?

- 비용관리

● 안전장치 확인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?

- 기계실 청소

● 자체점검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?

- 승강기 관리주체가 직접할 수 없을 경우 유지관리업자에게 대행

● 유지관리업체 선정 시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?

- 가장 낮은 비용으로 유지보수 체결

● 에스컬레이터의 전도 사고 예방대책으로 맞지 않는 것은?

- 조심해서 걸어내려 가도록 안내 방송

● 유지관리업자가 관리주체의 서면동의없이 하도급을 하였을 경우 벌칙사항은?

- 3백만원 이하의 과태료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