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※시험 응시 후 정답 확인 용도로만 참고 부탁드립니다.
● 연구실안전법의 목적이 아닌 것은?
- 폐기물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함으로서 국민 생활의 질적 향상 이바지
●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여야 하는 주기는?
- 1회/2년
● 유해인자 취급 연구활동종사자에 대한 특수건강검진의 실시 주기로 적합한 것은?
-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12의3에 따라 실시
●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의 업무 내용이 아닌 것은?
- 연구실 점검 및 진단 대행기관의 등록
● 대학의 경우 연구비에서 확보해야하는 인건비 대비 안전관리비의 비율인 것은?
- 1% 이상 2% 이하
● 다음 중 정밀안전진단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- 폭발사고, 화재사고 등 연구활동종사자의 안전에 치명적인 위험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을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실시
● 연구실안전관리위원회 위원으로 될 수 없는 사람은?
- 정밀안전진단 업체 대표
● 연구실안전관리 위원회 구성 시 연구활동종사자의 비율로 옳은 것은?
- 연구실활동종사자가 2분의 1 이상 포함
● 다음중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의 직무가 아닌것은?
- 연구실 안전관리 담당자 지정 가능
● 연구활동종사자가 1천명 이상 3천명 미만인 경우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를 1명 이상 지정해야 한다.
- X
728x90
'직장다반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<<안전교육>>_LMO생물안전관리책임자_보수교육_2분기_정답 (0) | 2021.09.23 |
---|---|
<<안전교육>>_기관생물안전위원회(IBC)_위원교육_2분기_정답 (0) | 2021.09.23 |
<<안전교육>>_LMO수입대행기관_1분기_정답 (0) | 2021.09.23 |
<<안전교육>>_LMO수입대행기관_2분기_정답 (0) | 2021.09.23 |
<<안전교육>>_LMO기초_2분기_정답 (0) | 2021.09.23 |